sayyoon.site
postsguestbook
🌿
SKALABEFE

SW 미니프로젝트 - 서비스 기획, 요구사항 분석, 시스템 설계, 데이터 모델링

2025.04.26

sw 미니프로젝트로 스스로 하나의 서비스를 기획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프로젝트 개발X 기획O)

 

프로젝트 기획 과정

프로젝트 기획은 [서비스 배경 및 목적] → [사용자 별 시스템 기능(요구사항) 정의] → [서비스 UI 흐름 (와이어프레임 작성)] → [데이터 모델링 설계] → [API 명세 작성] 단계로 진행했다.
촉박한 기간으로 개발까지 진행하지는 않았지만, 직접 개발할 것을 고려해서 서비스를 기획했다.
(애정이 듬뿍 담겼다는 말!!)

그래서 서비스 규모가 크지는 않고, 2일 동안 화면 디자인, erd 설계, api 명세를 작성할 수 있을 만큼으로 서비스 구조를 잡았다.
내가 기획한 서비스는 늘의 뷰 서비스, 줄여서 오소리 서비스다.

개인적으로 서비스를 기획할 때 사람들 눈에 톡 띄는 서비스 이름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 프로젝트 기획 단계에서 서비스 이름이랑 서비스 컨셉에 대해서도 고민을 꽤나 했다. (발표 할 때 시간관계상 서비스 기획 내용을 더 말하지 못했어서 블로그에 작성해본다 ㅎㅎ)
서비스의 캐릭터를 오소리로 정하면서 이름도 ‘오소리’로 통일했고, 색상까지 세심하게 설정했다. 발표 후 팀원이 이름이 귀엽다고 해줘, 이름까지 신경 쓴 걸 알아준 것 같아 정말 뿌듯했다.

그 뒤, 기획배경과 목적, 기대효과를 다듬고, 사용자층도 특정한 뒤, 화면 디자인을 진행했다.
오랜만에 사용하는 피그마라 처음에는 재밌었는데, 역시나 레이아웃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다 보니 중간 쯤부터 힘들었다..  

ui

 

그 뒤, 화면 UI를 참고해서 ERD를 정비했다. 확실히 디자인을 하면서 초기 기획했던 데이터 중 필요 없던 것도 있었고, 추가된 것도 있었기 때문에 이 순서대로 진행해서 작업의 중복성을 줄일 수 있었다. ERD는 총 5개의 테이블이 나왔다! (사실 처음에 테이블이 4개밖에 안 나와서 초기 기획에 기능을 더 추가했다😓)

API는 총 11개가 나왔고, auth, spending, summary, user로 기능을 나누어 분리했다.

 

소감

학교 다닐 때는 대부분 팀을 꾸려 기획도 같이 진행하고 UI 디자인은 디자인과 학생이 해주는 경우가 많았어서, 이렇게 온전히 체계적으로 기획한 건 정말 오랜만이었다. 기획을 하다 보니 서비스에 애정이 생겨서 여기서 배운 기술스택으로 개발하고 싶다는 욕심도 생겼지만,, 정말 너무 시간이 없다.. ㅠ (핑계처럼 들릴 수도 있지만 벌써 4월 말..) 앞으로 남은 프로젝트들 열심히 하면서 배우는 내용 습득해야지..! 화이팅
힐링 그 자체였던 SW 미니프로젝트 시간.. 안녕👋 즐거웠어

© Powered by danmin